반응형

코트 규격(court Dimensions)
1. 바닥이 단단한 평면의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2. FIBA의 모든 주요 공식경기의 코트규격은 경계선 안으로 부터 측정하여 길이 28m, 너비 15m 이어야 한다.
3. 그밖의 대회는 FIBA가 인정한 단체나 국가연맹이 승인한 대회에서는 길이 26m, 너비 14m의 코트도 가능하다 FIBA 주요 공식경기대회를 위해 건립되는 모든 코트는 길이 28m, 너비 15m로 하여야 한다.
4. 천정이나 장애물의 높이는 적어도 7m 이상이어야 한다. 조명은 코트(바닥)를 충분히 밝힐 수 있어야 하며, 조명기구는 선수들의 시야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경계선과 규격(Lines and Dimensions)▣
여기에서 말하는 선들은 .같은색으로(가능하면 흰색) .너비는 5cm로 .선명하게 보이도록 그려야 한다

경계선
1. 코트의 경계선은 관중이나 광고 게시판, 또는 팀 벤치를 포함한 장애물로부터 적어도 2m이상 떨어져야 하고 제2조의 규칙에 따라 그린다.
2. 코트의 긴선을 사이드.라인, 짧은 선을 엔드.라인이라고 한다.
센터.라인
센터.라인은 양 사이드.라인의 중앙점에서 엔드.라인과 평행이 되도록 사이드라인 밖으로 15cm를 더 연장하여 그려야 한다.
팀.벤치 구역 팀
1. 기록석과 팀.벤치는 동일하게 사이드.라인의 코트 바깥에
2. 엔드.라인으로 부터 연장하여 길이 2m, 또한 센터.라인으로부터 5m 떨어진 곳에 길이 2m의 선을 사이드.라인과 직각으로 그려 표시한다.
주해
1. 경기중 팀.벤치는 코치, 어시스턴트.코치, 교대선수, 그리고 최대 5명의 팀 관계자(예:매니저, 의사, 물리치료사, 기록원, 통역원)만 앉을 수 있다.
2. 팀 관계자도 팀의 일원으로서 의무와 책임이 있으므로 그의 행동도 심판의 관리하에 있게 된다.
3. 만약 상황에 따라 필요하다면 심판의 권한으로 벤치에 앉을 수 있는 팀 관계자의 수를 줄일 수도 있다.

프리.드로우.라인 제한구역과 프리.드로우.레인
1. 프리.드로우.라인은 엔드.라인 안으로 부터 프리.드로우.라인의 바깥까지 5.8m의 거리에 3.6m의 길이로 엔드.라인과 평행이 되도록 그린다. 프리.드로우.라인의 중앙점은 두 개의 엔드라인의 중앙점과 가상의 일직선상에 있도록 그려야 한다.
2. 엔드.라인의 중앙점에서 좌우로 바깥까지 3m되는 지점과 프리.드로우.라인의 양끝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제한구역을 그린다. 만약, 제한구역안을 색으로 칠할 때에는 센터.서클과 같은 색으로 하여야 한다.
3. 프리.드로우.라인의 중아점을 중심으로하여 반지름이 1.8m의 반원을 프리.드로우.라인의 바깥에 그려서 제한구역을 포함하여 프리.드로우.레인이라고 한다. (반지름은 원주의 바깥까지의 길이이다.) 제한구역안에도 위와 같은 반원을 점선으로 그린다.(점선의 길이는 35cm, 빈칸의 너비는 40cm)
4. 프리.드로우하는 동안 선수들이 배열하여 서야 할 자리를 프리.드로우.레인의 옆 선에 다음과같이 그린다.

▣프리.드로우.레인의 옆 선 바깥으로 엔드.라인의 안으로부터 1.75m의 지점에 직선을 긋고 첫 번째자리를 표시한다.
▣첫 번째 자리의 너비는 85cm로 중립지역과 경계가 된다.
▣첫 번째 자리에 이어서 너비 40cm의 중립지역을 그린다.
▣두 번째 자리를 중립지역에 이어서 너비 85cm로 그린다.
▣세 번재 자리를 두 번째에 이어서 너비 85cm로 그린다.
▣위에 말한 레인의 자리를 표시하는 모든 선들의 길이는 10cm, 너비는 5cm이며 프리.드로우. 레인의 옆선과 직각이 되도록 바깥쪽으로 그려야 한다.

센터.서클
원의 바깥까지를 측정하여 반지름이 1.8m되는 센터.서클을 코트 중앙에 그린다.만약 센터.서클 안을 색으로 칠할 때에는 제한구역과 같은 색으로 칠하여야 한다.

▣Regulation Free Throw Lane▣

    3점슛 지역
    모든 국내 및 국제경기가 포함된다. 상대팀 바스켓에 가까운 프론트코트 가운데 다음과 같이 제한된 구역을 제외한 코트의 전 지역이 한 팀의 3점슛 지역이 된다.
    1. 상대팀 바스켓의 중심점과 플로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점으로부터 양 사이드.라인으로 6.25m의 지점에 두 개의 평행선을 엔드.라인으로 부터 긋는다. 엔드.라인 안으로 부터 이 지점까지의 거리는 1.575m이다.
    2. 반지름 6.25m를 바깥가지 측정하여 위에서 말한 두 개의 평행선과 교차되도록 그린다.

    ▣Three-Point Field Goal Area▣

      백보드(Backboard)
      1. 백보드는 투명한 재질(가능하면 안전한 유리재질)로 두께 3cm의 단단한 나무와 같은 강도를 가진 하나의 판이어야 한다. 다른 재료로 만들어도 무방하나 위와 같은 내용과 같이 흰색으로 칠해져야 한다.
      2. 백보드 규격은 가로 1.8m(+3cm), 세로 1.05m(+2cm)이며, 플로어로 부터 백보드 밑변까지의 높이는 2.90m 이어야 한다.
      3. 백보드의 앞면은
       
      ▣평면이어야 하며
      ▣테두리는 선으로 표시해야 한다.
      ▣링 바로 뒤의 백보드에는 다음과 같이 직사각형을 그려야 한다. .바깥까지 측정하여 가로 59cm, 세로 45cm .밑변의 높이는 링의 상단부와 같아야 한다.
      ▣백보드에는 다음과 같이 선을 그려야 한다.
      ▶만약 백보드가 투명체일 경우, 흰색으로
      ▶다른 재질일 경우, 흑색으로
      ▶너비 5cm로
      4. 백보드는 다음과 같이 단단히 매달아야 한다.
      ▣플로어와 직각이 되고 엔드.라인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
      ▣엔드.라인 안쪽의 중앙점으로 부터 코트안으로 1.2m 되는 지점이 백보드 앞면의 중앙점과 수직이 되도록 한다.
      ▣만약 백보드가 측면으로 움직였을 경우, 4초이내에 제자리로 돌아가게 하여야 한다.
      5. 백보드에는 다음과 같은 덮개를 씌어야 한다.
      ▣백보드 덮개는 밑면과 양 옆면을 밑으로 부터 35cm의 높이까지 덮개를 씌워야 한다.
      ▣백보드 밑면 덮개의 두께는 최소 5cm이상이어야 한다.
      ▣백보드 밑면의 앞, 뒷면 덮개는 너비와 두께가 최소 2cm 이상이어야 한다. 백보드 받침대는 엔드.라인 바깥쪽으로 부터 최소 2m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며 선수들이 분간하기 쉽도록 배경과 대조적인 밝은색으로 칠한다.

      ▣Backboard Marking▣

      ▣Backboard Support▣

        백보드 받침대(Backboard Padding)
        1. 백보드 받침대는 다음과 같다.
        ▣백보드(덮개포함)뒤 받침대의 앞면이 엔드.라인 끝으로부터 최소 2m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며 선수들이 분간하기 쉽도록 배경과 대조적인 밝은색이어야 한다.
        ▣백보드 받침대는 움직일수 없도록 플로어에 고정되어야 한다.
        ▣백보드 뒤의 받침대는 백보드 표면으로부터 1.2m 떨어진 곳까지 받침대 밑면에 덮개를 씌어야 한다. 덮개는 5cm이상으로 백보드 덮개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어야 한다.
        ▣모든 백보드 받침대는 코트 바닥으로부터 최소한 2.15m 높이까지 두께 10cm이상의 덮개로 밑부분을 완전하게 씌어야 한다.
        2. 백보드 및 백보드 받침대의 모든 덮개는 최소 50%의 옴푹 들어가는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 듯은 덮개에 갑작스런 힘이 가해질때, 덮개위에 옴푹 들어가는 정도는 덮개의 두깨가 50%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이전처럼 덮개가 여러 갈래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Backboard Padding▣

          바스켓(Basket)

          바스켓은 링과 넷트로 구성되어 있다.
          1. 링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설치한다.
          ▣안의 지름이 최소 45cm 최대 45.7cm의 단단한 강철이어야 하며 오렌지색으로 칠해야 한다.
          ▣링의 굵기는 최소지름 1.6cm 최대 2.0cm 이어야 하며 그 밑에 손가락이 걸리지 않도록 넷트를 부착할 수 있는 장치가 되어있어야 한다.
          ▣링에 넷트를 부착할수 있는 장치는 끝이 날카롭거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어서는 안된다.
          ▣바스켓은 백보드를 받치는 프레임에 직접 고정시켜 링에 가해지는 힘이 바로 백보드에 전해지지 않도록 설치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링과 고정된 철물 사이에 백보드(유리 또는 투명체)가 직접 접촉되어서는 안된다. 그렇지만 틈새는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도록 좁아야 한다.
          ▣링의 윗쪽이 플로어로 부터 3.05m의 높이가 백보드의 양 끝으로 부터 같은 수평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링의 안쪽과 백보드 표면과의 사이에 길이는 15cm이어야 한다.
          ▣바스켓에 있어서 링 받침대 장치의 리바운드/탄성은 충격 에너지의 흡수 범위가 35%에서 50%까지이며 양쪽 바스켓 사이의 차이는 5% 이내 이어야 한다.
          ▣압력에 벌어지는 링을 사용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일치하야야 한다.
          ▶볼이 리바운드될 때 압력의 작용은 고정링과 같이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백보드와 링을 보호해야 한다. 링의 디자인과 제작은 선수들에게 안전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백보드로부터 가장 먼 지점의 링의 끝부분에 최소 82kg과 최대 105kg 까지의 정적인 부하를 주어도 벌어지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압력이 풀릴 때 링은 원 위치에서 30도 이상 벌어지지 않아야 한다.
          ▶부하가 없어지면 링은 즉시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되돌아 가야 한다.
          2. FIFA의 모든 주요 공식경기의 코트규격은 경계선 안으로 부터 측정하여 길이 28m, 너비 15m이어야 한다.
          3. 그밖의 대회는 FIBA가 인정한 단체나 국가연맹이 승인한 대회에서는 길이 26m, 너비 14m의 코트도 가능하다 FIBA 주요 공식경기대회를 위해 건립되는 모든 코트는 길이 28m, 너비 15m로 하여야 한다.
          4. 천정이나 장애물의 높이는 적어도 7m 이상이어야 한다.
          5. 조명은 코트(바닥)를 충분히 밝힐 수 있어야 하며, 조명기구는 선수들의 시야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넷트(Net)

            바스켓은 링과 넷트로 구성되어 있다.
            1. 백색의 링에 메달아 볼이 바스켓을 통과하는 것을 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잇도록 하여야 하며 넷트의 길이는 40cm에서 45cm이어야 한다.
            2. 링에 부착할 수 있도록 12개의 고리가 있어야 한다.
            3. 상단부는 아래사항을 방지하기 위해 약간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4. 링을 지나 다시 위로 튀어나오는 것과 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5. 볼이 넷트에 걸리는 것과 다시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의 크기와 무게

              바스켓은 링과 넷트로 구성되어 있다.
              1. 볼은 둥글고 오렌지 색이어야 하며 패널은 전통적으로 8쪽의 편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표면은 가죽, 고무 또는 인조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3. 1.8m 의 높이에서 플로어에 떨어뜨려 볼의 윗부분이 약 1.2m에서 1.4m까지 튀어 오르도록 공기를 넣어야 한다.
              4. 표면의 이은 자리의 폭은 0.635cm이내이어야 한다.
              5. 둘레는 최소 74.9cm에서 최대 78cm이내이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 567g에서 659g이내이어야 한다.
              6. 홈팀은 위의 규격에 맞는 사용하던 볼을 적어도 2개 준비하여야 한다. 주심만이 볼의 적합함을 판정할 수 있다. 시합구로 적당하지 않다고 판명될 경우, 주심은 방문팀의 볼중에서 또는 양팀 이 연습용으로 사용하던 볼중에서 선정할 수 있다.

                3on3 코트규격

                ▣Regulation 3on3 Court▣

                인터넷 검색중 농구 규격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는 부분이 좋은 거 같아서 스크랩 해봣어요
                보시고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
                보고 나니까 뭔가 농구에 대해서 새로운 무엇인가가 (복잡함?) 느껴지는 거 같네요ㅎ
                암튼 좋은 정보 되시길...

                출처: http://www.naba.or.kr/item/item_05.asp

                반응형

                Posted by comfu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