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 규격(court Dimensions)
1. 바닥이 단단한 평면의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2. FIBA의 모든 주요 공식경기의 코트규격은 경계선 안으로 부터 측정하여 길이 28m, 너비 15m 이어야 한다.
3. 그밖의 대회는 FIBA가 인정한 단체나 국가연맹이 승인한 대회에서는 길이 26m, 너비 14m의 코트도 가능하다 FIBA 주요 공식경기대회를 위해 건립되는 모든 코트는 길이 28m, 너비 15m로 하여야 한다.
4. 천정이나 장애물의 높이는 적어도 7m 이상이어야 한다. 조명은 코트(바닥)를 충분히 밝힐 수 있어야 하며, 조명기구는 선수들의 시야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경계선과 규격(Lines and Dimensions)▣
여기에서 말하는 선들은 .같은색으로(가능하면 흰색) .너비는 5cm로 .선명하게 보이도록 그려야 한다




프리.드로우.라인 제한구역과 프리.드로우.레인
1. 프리.드로우.라인은 엔드.라인 안으로 부터 프리.드로우.라인의 바깥까지 5.8m의 거리에 3.6m의 길이로 엔드.라인과 평행이 되도록 그린다. 프리.드로우.라인의 중앙점은 두 개의 엔드라인의 중앙점과 가상의 일직선상에 있도록 그려야 한다.
2. 엔드.라인의 중앙점에서 좌우로 바깥까지 3m되는 지점과 프리.드로우.라인의 양끝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제한구역을 그린다. 만약, 제한구역안을 색으로 칠할 때에는 센터.서클과 같은 색으로 하여야 한다.
3. 프리.드로우.라인의 중아점을 중심으로하여 반지름이 1.8m의 반원을 프리.드로우.라인의 바깥에 그려서 제한구역을 포함하여 프리.드로우.레인이라고 한다. (반지름은 원주의 바깥까지의 길이이다.) 제한구역안에도 위와 같은 반원을 점선으로 그린다.(점선의 길이는 35cm, 빈칸의 너비는 40cm)
4. 프리.드로우하는 동안 선수들이 배열하여 서야 할 자리를 프리.드로우.레인의 옆 선에 다음과같이 그린다.
▣프리.드로우.레인의 옆 선 바깥으로 엔드.라인의 안으로부터 1.75m의 지점에 직선을 긋고 첫 번째자리를 표시한다.
▣첫 번째 자리의 너비는 85cm로 중립지역과 경계가 된다.
▣첫 번째 자리에 이어서 너비 40cm의 중립지역을 그린다.
▣두 번째 자리를 중립지역에 이어서 너비 85cm로 그린다.
▣세 번재 자리를 두 번째에 이어서 너비 85cm로 그린다.
▣위에 말한 레인의 자리를 표시하는 모든 선들의 길이는 10cm, 너비는 5cm이며 프리.드로우. 레인의 옆선과 직각이 되도록 바깥쪽으로 그려야 한다.

▣Regulation Free Throw Lane▣

▣Three-Point Field Goal Area▣

▣Backboard Marking▣
▣Backboard Support▣

▣Backboard Padding▣

바스켓은 링과 넷트로 구성되어 있다.
1. 링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설치한다.
▣안의 지름이 최소 45cm 최대 45.7cm의 단단한 강철이어야 하며 오렌지색으로 칠해야 한다.
▣링의 굵기는 최소지름 1.6cm 최대 2.0cm 이어야 하며 그 밑에 손가락이 걸리지 않도록 넷트를 부착할 수 있는 장치가 되어있어야 한다.
▣링에 넷트를 부착할수 있는 장치는 끝이 날카롭거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어서는 안된다.
▣바스켓은 백보드를 받치는 프레임에 직접 고정시켜 링에 가해지는 힘이 바로 백보드에 전해지지 않도록 설치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링과 고정된 철물 사이에 백보드(유리 또는 투명체)가 직접 접촉되어서는 안된다. 그렇지만 틈새는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도록 좁아야 한다.
▣링의 윗쪽이 플로어로 부터 3.05m의 높이가 백보드의 양 끝으로 부터 같은 수평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링의 안쪽과 백보드 표면과의 사이에 길이는 15cm이어야 한다.
▣바스켓에 있어서 링 받침대 장치의 리바운드/탄성은 충격 에너지의 흡수 범위가 35%에서 50%까지이며 양쪽 바스켓 사이의 차이는 5% 이내 이어야 한다.
▣압력에 벌어지는 링을 사용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일치하야야 한다.
▶볼이 리바운드될 때 압력의 작용은 고정링과 같이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백보드와 링을 보호해야 한다. 링의 디자인과 제작은 선수들에게 안전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백보드로부터 가장 먼 지점의 링의 끝부분에 최소 82kg과 최대 105kg 까지의 정적인 부하를 주어도 벌어지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압력이 풀릴 때 링은 원 위치에서 30도 이상 벌어지지 않아야 한다.
▶부하가 없어지면 링은 즉시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되돌아 가야 한다.
2. FIFA의 모든 주요 공식경기의 코트규격은 경계선 안으로 부터 측정하여 길이 28m, 너비 15m이어야 한다.
3. 그밖의 대회는 FIBA가 인정한 단체나 국가연맹이 승인한 대회에서는 길이 26m, 너비 14m의 코트도 가능하다 FIBA 주요 공식경기대회를 위해 건립되는 모든 코트는 길이 28m, 너비 15m로 하여야 한다.
4. 천정이나 장애물의 높이는 적어도 7m 이상이어야 한다.
5. 조명은 코트(바닥)를 충분히 밝힐 수 있어야 하며, 조명기구는 선수들의 시야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야 한다.

바스켓은 링과 넷트로 구성되어 있다.
1. 백색의 링에 메달아 볼이 바스켓을 통과하는 것을 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잇도록 하여야 하며 넷트의 길이는 40cm에서 45cm이어야 한다.
2. 링에 부착할 수 있도록 12개의 고리가 있어야 한다.
3. 상단부는 아래사항을 방지하기 위해 약간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4. 링을 지나 다시 위로 튀어나오는 것과 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5. 볼이 넷트에 걸리는 것과 다시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스켓은 링과 넷트로 구성되어 있다.
1. 볼은 둥글고 오렌지 색이어야 하며 패널은 전통적으로 8쪽의 편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표면은 가죽, 고무 또는 인조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3. 1.8m 의 높이에서 플로어에 떨어뜨려 볼의 윗부분이 약 1.2m에서 1.4m까지 튀어 오르도록 공기를 넣어야 한다.
4. 표면의 이은 자리의 폭은 0.635cm이내이어야 한다.
5. 둘레는 최소 74.9cm에서 최대 78cm이내이어야 하며 무게는 최소 567g에서 659g이내이어야 한다.
6. 홈팀은 위의 규격에 맞는 사용하던 볼을 적어도 2개 준비하여야 한다. 주심만이 볼의 적합함을 판정할 수 있다. 시합구로 적당하지 않다고 판명될 경우, 주심은 방문팀의 볼중에서 또는 양팀 이 연습용으로 사용하던 볼중에서 선정할 수 있다.

▣Regulation 3on3 Court▣
인터넷 검색중 농구 규격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는 부분이 좋은 거 같아서 스크랩 해봣어요
보시고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
보고 나니까 뭔가 농구에 대해서 새로운 무엇인가가 (복잡함?) 느껴지는 거 같네요ㅎ
암튼 좋은 정보 되시길...
출처: http://www.naba.or.kr/item/item_05.asp